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치료방법

by 뿌이 2022. 1. 17.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은 대표적인 서구형 질환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식습관이나 생활이 서구화되면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질환입니다. 저도 역류성 식도염으로 고생을 한 적이 있는데 이 질환이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지, 치료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역류성 식도염이란?

이 질환이 생기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원인으로는 식도 위 경계에 있는 괄약근이 약해져서 역류 현상이 일어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식도의 아랫부분에는 밸브의 역할을 하는 괄약근이 있는데 음식물을 섭취 후에 역류하지 못하도록 이 밸브가 꽉 조여줍니다. 위장은 염산에 견딜 수 있는 점액이 코팅되어 있지만 식도는 그렇지 못한데 이 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강한 위산과 위 내용물이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2. 역류성 식도염 증상

  • 만성기침- 뚜렷한 호흡기 질환이 없이 마른기침이 계속된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 위산의 역류로 인한 가슴 쓰림- 식사 후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자면서도 느낍니다.
  • 목에 이물감이 느껴집니다.
  • 쉰 목소리- 만성기침으로 목이 쉬게 되어 목소리가 변합니다.

 

3.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방법

대부분 이 질환은 약물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위산 억제제인 양성자 펌프 억제제가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입니다. 그러나 약물치료로도 치료가 힘든 심한 경우에는 내시경 시술이나 수술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역류성 식도염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 금연
  • 과식이나 폭식 금지
  • 식후에 바로 눕는 행동 자제
  • 커피나 탄산음료, 지방이 많은 음식 등도 자제

 

이렇게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누구에게나 역류는 가끔 생길 수 있지만 장기간에 걸쳐 자주 지속된다면 분명히 문제가 될 것입니다. 위산은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물질이므로 위산억제제로 치료하기보다는 바른생활습관과 식이요법을 통해 개선해 나가는 게 먼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류의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재발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련글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음식 10가지

반응형

댓글